@import 를 사용한것을 Partial(파샬)이라고 한다
소스에서 반복되는 부분을 분리/ 분산시켜서 모듈화 시키는 것이다
---backgroundColor.scss---
$color: red;
---fontColor.scss---
$color: blue;
---wrapper.scss---
@import "backgroundColor";
@import "fontColor"
body{
font-color: $color
}
위와 같은 사태가 생길 수 있다
1. @import는 모든 변수에 대해 글로벌하게 접근 가능하다
2. 코드가 복잡해지고 길어질 수록 변수명이 중복될 수 있으며
3. 이로 인해 $color 로 접근하는 경우 마지막에 import된 곳의 변수 값을 따라가서 의도와 다른 css 결과가 나올 수 있다
---backgroundColor.scss---
$color: red;
---fontColor.scss---
$color: blue;
---wrapper.scss---
@import "backgroundColor";
@import "fontColor"
body{
font-color: fontColor.$color
}
변수를 사용하더라도 앞에 파일 이름을(fontColor) 붙여서 변수의 위치를 '특정'할 수 있게 된다.
import보다 코드 수정에 용이하다
@use 해야할 파일이 많은 경우. 전부 @forward 를 사용해 1개의 파일에 모을 수 있다
하지만 import와 같이 중복되는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 문제를 찾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
반응형에서 텍스트 줄바꿈 (0) | 2023.06.30 |
---|---|
iframe 반응형으로 사이즈 맞추기 (0) | 2023.06.13 |
같은 클래스와 태그 반복문 적용하기(pug) (0) | 2023.06.06 |
em, rem 차이 (0) | 2023.05.22 |
맥북에 pnpm 설치하기 (sudo 사용해서 에러 해결) (0) | 2023.05.17 |